비행기 액체류 반입 규정 총정리! 헷갈리지 말고 확인하자
1. 위탁 수하물 vs 휴대 수하물 차이
비행기 탑승 시 짐을 부치는 위탁 수하물과 직접 들고 타는 휴대 수하물로 나뉜다.
- 위탁 수하물: 대부분의 물품을 넣을 수 있으며, 액체류 규정이 거의 없음.
- 휴대 수하물: 기내에 들고 들어가는 짐으로, 국내선과 국제선에서 규정이 다름.
2. 국내선 액체류 반입 규정
- 국내선의 경우 액체류 반입 제한이 없다.
- 물, 음료, 화장품 등 용량과 상관없이 기내로 들고 탈 수 있다.
3. 국제선 액체류 반입 규정
국제선은 국내선과 달리 액체류 규정이 엄격하다.
- 100ml 이하의 용기에 담긴 액체만 반입 가능
- 총 1L 지퍼백(투명) 안에 들어갈 만큼만 가능
- 용기 크기 기준으로 판단되므로, 120ml 용기에 내용물을 100ml 이하로 줄여도 반입 불가
- 튜브형 제품(치약, 크림, 고추장 등)도 포함
- 곤약 젤리, 김치(국물이 포함된 제품)도 액체류로 간주됨
4. 기내 반입이 가능한 제품과 불가능한 제품
✅ 반입 가능
- 100ml 이하의 화장품(선크림, 로션, 미스트 등)
- 100ml 이하의 액체(물, 주스 등)
- 100ml 이하의 튜브형 제품(치약, 핸드크림 등)
❌ 반입 불가
- 100ml를 초과하는 용기(내용물이 100ml 이하라도 불가)
- 100ml 이상 용량의 영양크림, 젤 타입 화장품
- 김치, 곤약 젤리 등 국물이나 젤이 포함된 음식
- 살충제, 호신용 스프레이(위탁 수하물로 가능)
5. 스프레이 및 특수 제품 반입 규정
- 헤어스프레이, 선블록 스프레이: 국제선은 100ml 이하만 가능, 국내선은 500ml 이하 1인당 2L까지 반입 가능
- 살충제, 호신용 스프레이: 기내 반입 불가, 위탁 수하물로만 가능
6. 술 반입 규정
- 24도 미만의 술: 반입 제한 없음
- 24~70도 사이 술: 1인당 최대 5L까지 허용
- 70도 이상 술: 위탁 수하물 및 기내 반입 모두 불가
7. 공항에서 액체류 반입 시 주의사항
- 단무지처럼 액체가 포함된 음식도 반입 불가
- 젤리, 곤약, 김치 등의 음식도 규정에 따라 제한될 수 있음
- 면세점에서 산 술과 화장품은 밀봉된 상태라면 기내 반입 가능
국내선과 국제선의 차이를 확실히 이해하고, 액체류 반입 규정을 지켜 짐을 싸면 공항에서 불필요한 불편을 겪지 않을 수 있다.
#비행기액체류 #기내반입 #국제선여행 #비행기짐싸기 #공항규정
'관련정보 및 리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덕유산 케이블카 예약 및 요금, 설천봉 실시간 날씨 확인 방법 (0) | 2025.02.02 |
---|---|
미세먼지로 비상사태 선포된 태국, 무료 대중교통 활용법 (0) | 2025.02.01 |
일본 여행 eSIM 사용 후기 및 비교, 상세 사용법 (0) | 2025.01.31 |
베트남에서 꼭 필요한 유심과 인터넷 사용 꿀팁! 여행 전 반드시 알아야 할 필수 정보 (0) | 2025.01.31 |
유럽 면세 & 택스리펀, 제대로 알고 세금 돌려받기 (0) | 2025.01.31 |